홈검색결과
‘원천징수세’ 검색결과 총 7개
- 지급금액 계산 시 세금(부가세, 원천징수세)은 어떻게 설정하나요?
- 원천징수세액은 무엇인가요?
- 부가세 및 원천징수세를 매번 계산해야 하나요?
- [릴리즈노트] 2024-07-11 업데이트
- 파트너 과세 유형은 어떻게 되나요?
- 파트너 정보 기입 가이드가 있나요?
- 지급 금액 계산식은 어떻게 설정하나요?
지급금액 계산 시 세금(부가세, 원천징수세)은 어떻게 설정하나요?
파트너정산자동화
부가세
원천징수세
지급금액 계산식
지급금액은 정산정책, 수수료, 세금(면세액, 부가세, 원천징수세) 등을 모두 고려하여, 입니다. 지급금액 계산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 = -
= 과세 공급가액 + 면세금액 + 부가가치세(VAT)
= 소득세(3%) + 지방소득세(0.3%) * 원천징수 대상자만 해당
부가세 및 원천징수세를 매번 계산해야 하나요?
고객사마다 부가세 및 원천징수세를 적용하는 시점과 방식이 다를 수 있어, 포트원 파트너정산자동화 에서는 각 사의 정책에 맞게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초기 한 번 설정**해두...
원천징수세액은 무엇인가요?
파트너정산자동화
원천징수세액은 파트너에게 지급할 금액, 즉 파트너의 소득 원천에서 미리 납부하는 세금을 의미합니다.
원천징수세액에 대한 설정은 정산 정책 관리의 설정탭에서 이용하실 수 있으며, 원천징수세액 정산금 차감 여부에 대한 설정은 ‘원천징수 대상자’ 파트너에 한해 적용됩니다.
...
부가세 및 원천징수세를 매번 계산해야 하나요?
정산정책관리
고객사마다 부가세 및 원천징수세를 적용하는 시점과 방식이 다를 수 있어, 파트너 정산자동화 솔루션에서는 각 사의 정책에 맞게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초기 한 번 설정해두면, 이후에는 설정한 기준에 따라 자동으로 부가세와 원천징수세가 계산되어 정산금액에 반영됩니다.
설정 경로: 정산정책관리 > 설정 > 지급금액 설정
...
[릴리즈노트] 2024-07-11 업데이트
파트너정산
업데이트
주요 업데이트 사항
✔️ 가상계좌 잔액 출금 기능
내 가상계좌 잔액" />
정산 금액을 지급하기 위해 예치한 금액을 임의의 계좌로 출금하는 기능이 출시되었습니다.
파트너정산 > 정산 내역 관리 페이지 > 내 가상계좌 잔액의 [출금] 버튼을 클릭할 경우 가상계좌 출금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해당 페이지에서 계좌 정보와 출금 액수를 기재 후 전자서명을 완료하면 해당 계좌로 입력 잔액이 출금됩니다.
해당 기능은 [관리자] 권한을 가진 사용자만 이용할 수 있습니다.
✔️ 파트너 관리 - 원천징수 비대상자, 소득...
파트너 과세 유형은 어떻게 되나요?
파트너정산자동화
파트너는 사업자와 원천징수 대상자, 원천징수 비대상자로 구분하여 입력하실 수 있으며, 파트너가 사업자 유형인 경우에 과세 유형을 설정해주시면 됩니다.
일반 과세
간이 과세 (세금계산서 발행)
간이 과세 (세금계산서 미발행)
면세
...
파트너 정보 기입 가이드가 있나요?
파트너관리
기본 계약 아이디 필수값
정산 API 호출 시 필요한 식별값입니다. [정산 정책 관리] - [계약 관리] 에서 생성 가능합니다.
은행 코드 필수값
한글 또는 영문으로 입력 가능하며, 정확한 코드명으로 입력해주세요.상세 리스트는 아래 [은행 코드 가이드]를 참조해주세요.
통화 필수값
포트원이 지원하는 정산 통화를 정확한 영문명으로 기입해주세요.상세 리스트는 아래 [통화 가이드]를 참조해주세요.
파트너 유형 필수값
파트너 유형은 사업자, 원천징수 비대상자, 원천징수 대상자 중 하나를 입력해주세요.띄어쓰기를 포함...
지급 금액 계산식은 어떻게 설정하나요?
정산정책관리
지급금액은 정산정책, 수수료, 세금(면세액, 부가세, 원천징수세) 등을 모두 고려하여, 셀러에게 최종으로 지급되는 금액입니다. 지급금액 계산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지급금액 = 지급예상금액 - 원천징수세액
지급예상금액 = 과세 공급가액 + 면세금액 + 부가가치세(VAT)
원천징수세액 = 소득세(3%) + 지방소득세(0.3%) * 원천징수 대상자만 해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