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트너에게 지급할 금액을 계산하기 위해 제공되는
각종 설정(원천징수세액, 정산금액 취급기준)을 설명합니다.
지급금액 계산식
- 지급금액은 정산정책, 수수료, 세금(면세액, 부가세, 원천징수세) 등을 모두 고려하여,셀러에게 최종으로 지급되는 금액입니다. 지급금액 계산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 지급금액 = 지급예상금액 - 원천징수세액
- 지급예상금액= 과세 공급가액 + 면세금액 + 부가가치세(VAT)
- 원천징수세액= 소득세(3%) + 지방소득세(0.3%) * 원천징수 대상자만 해당

부가세 및 원천징수세를 매번 계산해야 하나요?
- 고객사마다 부가세 및 원천징수세를 적용하는 시점과 방식이 다를 수 있어, 포트원 파트너정산자동화 에서는 각 사의 정책에 맞게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 초기 한 번 설정해두면, 이후에는 설정한 기준에 따라 자동으로 부가세와 원천징수세가 계산되어 정산금액에 반영됩니다.
- 설정 경로:
정산정책관리 > 설정 > 지급금액 설정.png)
지급금액 설정하기
- ‘지급금액 설정’은 파트너에게 지급될 최종 금액(지급금액)을 결정할 때 사용하는 정산금액 기준 및 원천징수 처리 방식을 설정하는 항목입니다.
1) 정산 금액 취급 기준
- 설정 경로:
정산정책관리 > 설정 > 지급금액 설정 > 정산 금액 취급 기준 - 이 설정은 정산금액에 부가가치세(VAT)를 포함할지 여부를 결정합니다.
- 즉, 지급금액을 계산할 때 기준이 되는 정산금액을 공급가액 기준으로 취급할지, 부가세가 포함된 합계금액으로 볼지를 선택하는 것입니다.
⚠️ '간이•과세 사업자' 파트너에 한해 적용됩니다.
2) 원천징수세액 정산금 차감 여부
- 설정 경로:
정산정책관리 > 설정 > 지급금액 설정 > 원천징수세액 정산금 차감 여부 - 이 설정은 원천징수 대상자에게 3.3%의 원천징수세액을 정산금에서 차감할지 여부를 결정합니다. 해당 세금은 플랫폼이 국세청에 대신 납부하며, 하위 파트너에게는 차감 후 금액이 지급됩니다.
⚠️ ‘원천징수 대상자’ 파트너에 한해 적용됩니다.
상황별 시나리오
💡 참고
- 3.3%는 원천징수세율로, 소득세(3%)와 지방소득세(0.3%)를 포함한 비율입니다.
1.1배 계산은 부가가치세(VAT) 10%를 포함하기 위한 산식입니다. - 각 시나리오에서 정산금액은 기본적으로 공급가액 + 면세금액 기준으로 산정됩니다.
다만, 부가세(VAT) 포함 여부 설정에 따라 지급금액 계산 시 부가세가 포함될지 결정됩니다. - 공급가액 정산금액 설정은 부가세(VAT) 부과 시점의 차이를 반영하기 위한 기능입니다.
-공급가액설정: 정산금액에 부가세(VAT) 포함되어 있으므로, 지급시점에 별도 계산 없음.
-합계금액설정: 정산금액에 부가세(VAT) 미포함 되었으므로, 지급시점에 부가세 10% 추가해 지급. - 관리자(Owner, Admin)는 정산정책관리 > 설정에서 본 설정값을 선택하고, 지급내역 생성 및 일괄지급 시점에 해당 설정이 어떻게 반영됐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시 (정산금액 = 1,000,000원)
- 아래는 설정 조합에 따라 지급금액이 어떻게 계산되는지를 예시로 보여줍니다.
서비스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문의를 남겨주시면 영업일 기준 2일 내로 담당자가 연락 드릴 예정입니다.
언제든지 편히 문의 사항을 남겨주세요.
언제든지 편히 문의 사항을 남겨주세요.
서비스 문의 남기러 가기 ↗